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금일은 59세 남성의 허리디스크 진단케이스로 

2018년도에 내원한 환자는 다른 척추관절병원에서 허리 통증으로 인해 수술을 권고받은 상태였습니다.

 

당시 환자는 허리 통증으로 인해 제대로 걷지 못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였지만, 다행히도 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은 없었습니다. 

 

본원에서 실시한 3T MRI 검사 결과, 허리 디스크가 파열되어 수핵이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임이 확인되었습니다.

192027 문석찬 20180crop.jpg

 

192027 문석찬 20181crop.jpg

 [3T MRI 결과 L5-S1 디스크의 수핵이 흘러나온 것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노란 화살표 검은 부분]


본원 배민영 원장님과 논의 결과 상태가 위급하지는 않다고 판단하고, 수술 대신 보존적 치료를 권장하였습니다. 

환자는 신경 차단술과 같은 주사치료를 받으며, 동시에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병행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무리한 활동을 자제하는 등 생활 습관 개선도 함께 진행하도록 하였습니다.

  

 


통증이 완화되고 1년 후인 2019년에 추가적으로 실시된 MRI 검사에서, 디스크 파열로 신경을 압박하던 수핵이 자연스럽게 흡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결과 환자의 통증은 크게 감소하였고, 일상생활을 무리 없이 수행할 수 있을 만큼 회복되었습니다.

 

192027 문석찬 20190crop.jpg

 

192027 문석찬 20191crop.jpg

 [이전 3T MRI에서는 검은색으로 막혀 있던 부분이 이제는 보이지 않는다]

 

 

이 사례는 디스크 파열이 수술만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닌 적절한 주사 치료와 운동 요법으로도 터진 수핵의 흡수와 통증 완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었던 진단 사례입니다.

 

만약에 마비증상 등이 나타났다면 당연히 응급으로 수술을 했어야하고 수술이 필요한 케이스들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을 하는 것입니다. 

 

어느 관절 부위든 통증이 심해질 경우, 정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분들께서도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물리치료만 받더라도 정확한 통증의 원인이 되는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면 더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또한 관절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른 자세와 규칙적인 운동이 필수적이며, 초기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회복의 첫걸음이라는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이번 케이스는 다른 의료기관에서 뇌종양 진단을 받아 

3차병원으로 치료를 가시려던 환자분께서 좀 더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다하여 

본원을 방문하셔서 다시한번 3T MRI로 뇌정밀검사를 진행한 결과 

뇌종양이 아닌 뇌동맥류로 진단된 케이스입니다.

 

 

1. 다른 의료기관에서 검사한 뇌 MRI 영상 

800620M9 이하은 MRI2.jpg

 

800620M9 이하은 MRI4.jpg

 

뇌에 병변이 보여 뇌종양으로 판단되어 3차 병원으로 전원

 

 

 

명진단에서 진료 후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 고자장 3T MRI로 

조직을 보는 뇌MRI 와 혈관을 보는 뇌 MRA를 모두 검사하기로 하셨습니다.

 

 

검사 결과 뇌종양이 아닌 뇌동맥류로 확인되어 빠르게 3차 병원으로 전원하였습니다.


243808 이하은 MRA0.jpg

3D로 확인한 뇌혈관에 있는 뇌동맥류의 모습

 

 

243808 이하은 MRA1.jpg

뇌속의 미세한 혈관까지 자세히 검사할 수 있는 뇌 MRA  검사로 뇌동맥류를 진단한 케이스

 

 

최근 대학병원에서 검사가 오래 걸리기지만 

본원에서는 대학병원급 장비로 빠르게 검사 및 판독이 가능합니다. 

 

숙련된 영상의학과 전문의들의 판독과 좋은 장비로 

빠르게 검사하시고 결과를 다시 대학병원으로 가져가신다면 더욱 빠르게 진료 및 치료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60대 남자분의 췌장암 진단 케이스 입니다. 

환자분은 암에 대한 경각심으로 검진을 꾸준히 해오시던 분이셨습니다.


본원에는 23년도 검사하신 폐의 간유리음영이 있어서 폐CT 추적검사를 위해 내원하셨는데 

22년도에 복부CT 검사를 하셨지만 시간이 지났기에 폐와 복부까지 모두 검사하시게 되었습니다.

 

 

2022 vs 2024ss.jpg

(좌 2022년 CT 영상 / 우-2024년 CT 영상 )

 

 

640채널 복부CT 검사 결과 췌장에서 종괴가 확인되어 다음날 바로 복부 3T MRI 검사를 받으셨습니다.

안타깝게도 검사결과 췌장암으로 진단되셔서 상급병원으로 빠르게 전원하시게 되었습니다.

췌장암 표지자 Ca19-9 검사에서 수치가 830으로 매우 높게 나오셨습니다. (정상범위 0-35)

 


 

2024 MRI1sss.jpg

( 이후 시행된 복부 3T MRI 검사영상)

 

 

명진단 배민영 대표원장님께서는 

"2022년 당시 이미 췌장암이 있을 수 있는데 CT상에 안 나타난 경우에 해당될 수도 있다. 작은 췌장암의 경우 20% 정도가 CT에서 이상 없는 것(isodensity)으로 보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CT 와 mri 검사를 잘 선택해서 검사해야 한다." 고 말씀하셨습니다. 

 

 

 


 

복부 3T MRI 검사로 진단한 췌장암

 

2024 MRI3ss.jpg

 

2024 MRI E1ss.jpg

 

2024 MRI5.ssjpg.jpg

 

2024 MRI7ss.jpg

 

 

 

 


 

췌장암은 CT보다 MRI에서 더 정확하게 진단되기 때문에 
정밀한 검사를 위해서는 MRI를 꼭 받아보셔야 합니다.

크기변환_K-20130910-451662.jpg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오늘 소개할 케이스는 이전 폐CT 검사가 기반이 되어 빠르게 폐암진단 후 치료까지 완료된 케이스입니다.

 

 

228641 박현숙 22년0cc.jpg

 

228641 박현숙 22년2cc.jpg

정기검진상에 2022-09-13 4mm size , 아주 작은 결절이 

좌하폐 상부에서 진단되셔서 12개월 추적검사 권고드렸습니다. 

 

 

 

228641 박현숙 24년0cc.jpg

 

228641 박현숙 24년2cc.jpg

 

조금 늦으신 15 개월 후 추적검사로 하신 CT 검사상에서 지난번 결절이 8 mm size 로 크기가 커졌고 

내부에 고형성분(solid portion )을 포함한 성장결절로 진단되어 암가능성 매우 높은 상태로 판단하여 

상급병원 폐암센터 의뢰하게 되었습니다.

 

상급병원 교수님들의 다학제 진료에서 명진단에서 검사한 영상검사 자료를 근거만으로도 

암가능성 높다고 판단하셨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신뢰도가 낮은 조직검사를 하지 않고 바로 수술이 결정되었습니다.

 

수술 결과 T1a (폐암 중 가장 초기암에 해당) 

상급병원에서 암 완치에 가까운 판정을 받으셨습니다.


결론

이 케이스는 골든 타임에 발견된 극초기 폐암 케이스로 이렇게 바로 완치가 가능했던 것은 

영상주치의의 권고에 의한 baseline study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크기 변화를 바로 확인할 수 있기에 조직검사 등 고통스러운 검사를 하지 않고 

바로 수술하여 폐암진단 판정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수술 후 재발걱정 없는 100 % 완치 판정을 받았기에 환자에게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교훈 

베이스라인(Baseline) 검사를 꼭 받아두자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오늘 소개드릴 케이스는 75세 남성의 전립선암 초기진단 케이스로 환자분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년전 전립선 암표지자인 PSA 수치가 약간 증가하여 토마토, 마늘 등 전립선에 좋다는 음식으로 관리를 하셨으나 

조절이 안되었고 PSA 3.9~4.2 정도일때 명진단을 방문하셨습니다.

배민영 대표원장님께서 수치가 높기 때문에 전립선MRI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어 권고하셨고 

환자분도 걱정되는 마음에 검사를 받으셨고 결과적으로 초기 전립선암 진단을 받으셨습니다.

 

진단 후 다행히 초기이고 전립선 피막 넘어로 전이된 상태가 아니시기 때문에 

빠르게 대학병원의 명의에게 연계하여 치료를 받으셨습니다.

담당 교수님께서 조기 진단이 되셔서 다행이고 조직검사 후 수술치료를 받으셔서 

현재는 건강히 잘 지내고 계시다고 하셨습니다.

특히나 환자분께서는 전립선MRI 검사를 권유해주신 덕분이라고 생각하고 늘 감사하고 있다고 전하셨습니다. 

현재는 아내과 따님, 가족분만 아니라 주변 지인분들에게도 영상검사는 명진단에서 받도록 추천하고 있으시다고 하셨습니다.


 

 

 

 

 명진단 영상의학과 3T MRI 검사로 명확하게 진단된 전립선암 

 

135266 조종호0.jpg

 

 

135266 조종호1.jpg

 

 

135266 조종호2.jpg

 Difffusion MRI 영상에서 조영증강되는 전립선암 

 

135266 조종호3.jpg

 전립선 피막에 거의 닿아 있는 전립선암의 영상

 

135266 조종호4.jpg

 

전립선 MRI 검사는 PSA 수치가 상승하여 암이 의심될 때 

어떤 치료가 필요한지 결정하는 나침반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항상 끊임없이 노력하는 명진단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타원에서 PSA(전립선암항원검사)에서 수치가 9로 높게 나오셔서 본원으로 오셔서 

전립선 3T MRI(조영증강) 검사로 정밀진단한 케이스입니다.

 

3T MRI 검사결과 전립선과 전립선 주변부를 침범한 전립선 암이 진단되었습니다.

 

전립선암 3기 진단사례 (1).jpg

전립선암이 주변부, 정낭까지 침범한 상태로 PI-RADS로는 5레벨, T3b로 진단되었습니다. 

 

전립선암 3기 진단사례 (3).jpg

 

PI-RADS 5는 전립선 암이 확실시 되는 단계로 이후 전립선 조직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현재 상태로는 T3b  3기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케이스입니다.

 

 

참고) 전립선 암의 병기 

그림1.png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이번 진단사례는 코로나 후유증 관련 진단사례 입니다.

코로나 확진 이후 자가격리를 마친 30대 남성이 발열들의 증상은 없지만 

잔기침, 호흡불편으로 내원하셔서 진료 후 저선량 폐 CT 검사 결과 

양측 폐에서 간유리음영결절(GGO)가 진단된 사례입니다.

 


covid1.jpg

 

160257 이광희 폐CT 202203042.jpg

 

covid3.jpg

 

 

코로나 후유증 진단 받은 뒤 일주일간 약복용 및 관리 후 내원하기로 하셔서 

내원 검사 결과 간유리음영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좀 더 약을 처방하면 점차 회복 될 것으로 보이지만 남아 있을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3개월 후 다시 저선량 폐 CT 검사를 받아보시기로 했습니다.


 

covid2.jpg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이번 소개드리는 사례는 63세 남성으로 건강검진에서PSA 전립선특이항원수치가

4.03로 약간 증가하여(전립선암 가능성 25%) 본원의 새로 도입된 3T MRI 장비로 검사를 받으셨습니다.

 

검사 결과 전립선 오른쪽에 팥알 만한 크기(6.69mm)의 전립선암이 발견되었습니다.

다행히 피막침범(capsule invasion)도 없어보이는 상태로 조기진단 되셨습니다.


전립선 암표지자(PSA)의 경우 정확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기 때문에 

혈액검사 결과상 수치가 올라가면 예전에는 고통스런 조직검사(blind biopsy)를

해야했습니다.


이제는 영상검사가 발달하여 3T MRI 영상검사로 암진단 뿐아니라 종양의 크기와 주변에 침범 정도 즉, 병기까지 미리 파악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영상검사로 정확한 진단이 동반된다면 조직검사 또한 최소화 할 수 있기에 환자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말그대로 첨단영상진단의 시대입니다.

감사합니다.

 

 

 

111.jpg

 

 

222.jpg

 

 

333.jpg

 

 

444.jpg

 

 

555.jpg

 

 

666.jpg

 

 

777.jpg

(조영증강에서도 확실하게 악성종양의 커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보통 좌골신경통이라 하면 허리디스크의 전형적인 증상이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원인은 허리에서 진단되지만 

이번 케이스는 고관절 부위에서 신경이 눌리면서 좌골신경통이 발생하는 사례입니다.

 

44세 여성환자분으로 수개월간 양하지 통증으로 마통과와 신경외과를 방문하여 

치료를 받으셨으나 차도가 없으셨고 허리부위 CT 검사를 검사하셨으나 이상이 없기 때문에 

본원에서 진료 후 고관절 3T MRI검사를 하셨습니다. 

 

MRI 검사로 좌골신경통의 원인을 진단하였고 관절전문병원으로 전원하여 

수술보다는 비수술적 치료를 받으실 예정입니다.


 


 


고관절통증 3T MRI검사.jpg

(영상 좌측에서 좁아져 충돌이 발생하는 대퇴부위 영상)

 

 


고관절통증 3T MRI검사2.jpg

(영상의 좌측과 우측 관절 간격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남)

 

 

slide.JPG

(허리에서 나온 신경이 다리쪽으로 내려가는 부위인데 눌리면서 염증이 생기고 좌골신경통을 유발하게 됨)

 

				 

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췌장암은 치료가 어려운 암이기도 하지만 다른 암종에 비해 전이도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번 케이스는 640 채널CT로 진단한췌장 꼬리쪽에서 발견된 작은 췌장암이 간으로 다발성전이를 유발한 사례입니다.

 

case1.jpg

640CT로 진단한 작은 췌장암

 

 

 

case2.jpg

작은 췌장암이지만 간으로 다발성 전이를 유발하여 전이된 모습

 

 

 

췌장암은 치료가 어렵고 전이도 빠르기에 예방이 최선입니다.

명진단에서는 640채널CT 와 3T MRI 암 조기진단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가족력에 췌장암이 있거나 췌장질환이 있으신 분들은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본인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영상검진센터입니다.
다음 진단사례는 44세 여성환자분으로 수 개월 전부터 말이 어눌해지고 
왼쪽 팔다리에 하루 한 두차례 심하게 힘이 빠지는 증상이 지속되셔서 
내원하신 환자분이십니다.
본원 내원하셔서 신경과 진료로 신경학적 검사 결과 
빠르게 뇌 MRI MRA 검사를 진행하셨습니다. 
2018년 10월 이후 검사 이전에도 증상이  해당되는 경우 뇌 MRI MRA 검사가 
건강보험이 적용되었습니다. 다만 모든 증상이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신경과 진료를 통해서 신경학적 검사와 증상과 소견이 해당되어야 합니다.

검사 결과 한쪽 뇌혈관이 막혀있는 상태로(뇌혈관협착) 
혈액공급이 안되자 급성뇌경색도 진단되었습니다.


급성뇌경색 혈관협착 181624 MRA 4(2).jpg
(뇌혈관 MRA 검사 결과 한쪽 혈관이 막히는 혈관 협착상태)

급성뇌경색 혈관협착 181624 DWI 1(2).jpg
(Diffusion MRI 검사(DWI)로 급성 뇌경색 진단

급성뇌경색 혈관협착 181624 T2 1(2).jpg
(뇌 MRI 결과 혈관이 막히면서 뇌조직에 혈액공급이 안되어 급성뇌경색이 진단되었다)


뇌질환은 치료가 잘되어도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거나 금방 없어지더라도 방심하지 말고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은 지키는 것이 최선입니다.
감사하니다.


				 
명진단영상검진센터 진단사례입니다.

64세 남성 환자분을 내원 전 급작스러운 실신으로 인하여 
앞으로 넘어지시면서 머리에 충격을 받으신 환자로 
실신 후 두통이 점점 심해지면서 걱정이 되어 내원하셨습니다.

일단 충격으로 인하여 빠른 검사와 진단이 가능한 640 채널 뇌 CT 확인 결과 
전두엽 쪽 출혈이 진단되었으며 추가로 MRI 를 촬영하여 빠르게 전원한 케이스입니다.


외상성 뇌출혈 48361 CT 1(2).jpg
(빠른 진단이 가능한 640 채널 CT 장비로 뇌검사 결과 출혈이 진단 됨)


외상성 뇌출혈 48361 T2 1.jpg
(빠른 처치를 위해 뇌 MRI 검사 후 전원 - 3차병원은 바로 검사가 안될 수 있습니다)

급작스러운 뇌출혈로 위험할 수 있는 진단사례로 
골든타임을 단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의료진에게 진료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영상검진센터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사례는 전립선종양표지자(=PSA) 검사에서 
꾸준히 수치가 증가하는 70대 남성의 진단사례입니다.

전립선암은 종양표지자 검사로도 어느정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수치가 높더라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3T MRI로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사례자의 경우도 PSA 수치가 계속 증가하여 
전립선 3T MRI 검사결과 1기 전립선 암으로 진단된 사례입니다.

file001.jpg

file002.jpg


file003.jpg



file005.jpg
(디퓨전 영상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전립선암조직)

file006.jpg

file007.jpg


file008.jpg
(암조직의 경우 조영촬영시 조직 반응으로 암진단 가능)



환자의 건강을 지키고 조기진단을 위해 항상 노력하는 명진단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 영상검진센터입니다.

 

일상에서 누나 일어날 수 있는 급작스러운 복통(급성복통)의 원인을

영상(초음파)로 진단한 케이스를 소개합니다.

 

밤새 우하복부의 급성복통으로 시달리다 아침 일찍 급하게 내원하신 50대 여성환자입니다.

우하복부 복통의 원인은 크게 급성장염, 맹장염, 요로결석, 난소질환, 신장질환이 있습니다.

 

아침일찍 내원하셔서 배민영 원장님께서 초음파 검사 결과

방광입구 우측 6mm 사이즈의 요로결석이 진단되었습니다.

2015년 전 검사에서 진단된 우신장의 결석이 내려온 것으로 보입니다.

 

2017 sono1.jpg

(요관을 막고 있는 6mm 사이즈의 결석)

 

2017 sono2.jpg

 

 

환자분은 50대 여성으로 2015년 초음파 검사에서

양신장에 결석이 있으셨으며 우측신장에 5.9mm 사이즈의 결석이 있으셨습니다.

 

2015 sono.jpg

(2015년 초음파 검사에서 진단된 신장결석)

 

 

 

일상에서 겪는 급성복통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영상으로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빠른 조치를 받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영상검진센터입니다.
최근 내원하셨던 분들 중 자칫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었던
심각했던 진단사례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222.jpg

 (하얗게 보이는 심혈관의 중간이 꽉 눌린 것처럼 막혀있다)

 
 
 
58세 남성의 심혈관진단으로 심근경색과 심장마비를 예방한 사례입니다.
최근 기침과 쉼쉴 때의 가슴통증 증상이 나타났던 환자분으로
2월에 타 병원에서 혈압을 측정했을 때 수축기 혈압이 160 정도 고혈압이 있는 상태였습니다.

환자분께서 바쁘시다고 검사일정을 다음으로 미루시려했으나 배민영 원장님의 거듭되는 권유로 일정을 미루시고 검사를 받게 되셨습니다.
건강상태 전반과 심장을 정밀하게 확인하기 위해 전체초음파 검사와 심장정밀검사를 시행했습니다.

초음파 검사 결과 경도의 지방간과 2.4mm의 경동맥 경화반이 발견되어 집중적인 뇌,심혈관 관리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심장 관상동맥을 정밀하게 보는 관상동맥 CT 검사에서는 좌하행 관상동맥이 전반부가 90%, 중반부 50% 협착으로 완전히 막혀 있는 심각한 상태였습니다.
 
 

444.jpg

 (우측의 혈관을 미세하게 나누어 좌측에서 단면을 확인한 결과 90% 협착진단)

 
이렇게 심혈관이 심하게 막히면 심장근육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심근에 문제가 생겨 심근경색, 심장마비가 나타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입니다.

 

 

333.jpg

(혈관 주변의 석회, 혈전 등이 눈으로 확인된다)

 

 

 

 

다행히 늦지 않게 발견하여 세브란스 병원의 심혈관센터로 즉시 전원하여 최대한 빠르게 스탠트 시술로 혈관을 확장하여 치료하게 되었습니다.

바쁘시다고 검사를 미루셨다면 큰 위험에 처할 수 있었던 진단 사례로 
환자분께서도 바쁜 자신을 잡아준 배민영 원장님께 크게 고마워하셨습니다.
 
정확하고 꼼꼼하게 진단하는 명진단영상의학과를
믿어주시는 많은 환자분들이 있어 더욱 열심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 영상검진센터입니다.

 

최근 내원하신 50대 여성의 미세 유방암 진단 케이스입니다.

진단된 상피내암은 유방의 유관내 안쪽의 세포가 변형되어 생기는 가장 미세한 암입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검사에서는 진단이 어렵지만 유방 조영 MRI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합니다. 

 

 

 

FILE0.jpg

(왼쪽에 미세하게 보이는 하얀 점이 유방상피내암 입니다.)

 

 

FILE1.jpg

(상피내암 조직의 조영제 흡수율 변화 - 급격한 변화곡선이 암을 나타냅니다)

 

 

 

 

1
2
3
4

빠른 상담 신청

담당자가 확인 후 전화상담을 통해
진료예약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목적
상담 서비스 제공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이름, 연락처, 진료과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수입 또는 제공받는 목적 달성시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