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명진단입니다.

이번 케이스는 다른 의료기관에서 뇌종양 진단을 받아 

3차병원으로 치료를 가시려던 환자분께서 좀 더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다하여 

본원을 방문하셔서 다시한번 3T MRI로 뇌정밀검사를 진행한 결과 

뇌종양이 아닌 뇌동맥류로 진단된 케이스입니다.

 

 

1. 다른 의료기관에서 검사한 뇌 MRI 영상 

800620M9 이하은 MRI2.jpg

 

800620M9 이하은 MRI4.jpg

 

뇌에 병변이 보여 뇌종양으로 판단되어 3차 병원으로 전원

 

 

 

명진단에서 진료 후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 고자장 3T MRI로 

조직을 보는 뇌MRI 와 혈관을 보는 뇌 MRA를 모두 검사하기로 하셨습니다.

 

 

검사 결과 뇌종양이 아닌 뇌동맥류로 확인되어 빠르게 3차 병원으로 전원하였습니다.


243808 이하은 MRA0.jpg

3D로 확인한 뇌혈관에 있는 뇌동맥류의 모습

 

 

243808 이하은 MRA1.jpg

뇌속의 미세한 혈관까지 자세히 검사할 수 있는 뇌 MRA  검사로 뇌동맥류를 진단한 케이스

 

 

최근 대학병원에서 검사가 오래 걸리기지만 

본원에서는 대학병원급 장비로 빠르게 검사 및 판독이 가능합니다. 

 

숙련된 영상의학과 전문의들의 판독과 좋은 장비로 

빠르게 검사하시고 결과를 다시 대학병원으로 가져가신다면 더욱 빠르게 진료 및 치료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영상검진센터입니다.
다음 진단사례는 44세 여성환자분으로 수 개월 전부터 말이 어눌해지고 
왼쪽 팔다리에 하루 한 두차례 심하게 힘이 빠지는 증상이 지속되셔서 
내원하신 환자분이십니다.
본원 내원하셔서 신경과 진료로 신경학적 검사 결과 
빠르게 뇌 MRI MRA 검사를 진행하셨습니다. 
2018년 10월 이후 검사 이전에도 증상이  해당되는 경우 뇌 MRI MRA 검사가 
건강보험이 적용되었습니다. 다만 모든 증상이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신경과 진료를 통해서 신경학적 검사와 증상과 소견이 해당되어야 합니다.

검사 결과 한쪽 뇌혈관이 막혀있는 상태로(뇌혈관협착) 
혈액공급이 안되자 급성뇌경색도 진단되었습니다.


급성뇌경색 혈관협착 181624 MRA 4(2).jpg
(뇌혈관 MRA 검사 결과 한쪽 혈관이 막히는 혈관 협착상태)

급성뇌경색 혈관협착 181624 DWI 1(2).jpg
(Diffusion MRI 검사(DWI)로 급성 뇌경색 진단

급성뇌경색 혈관협착 181624 T2 1(2).jpg
(뇌 MRI 결과 혈관이 막히면서 뇌조직에 혈액공급이 안되어 급성뇌경색이 진단되었다)


뇌질환은 치료가 잘되어도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거나 금방 없어지더라도 방심하지 말고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은 지키는 것이 최선입니다.
감사하니다.


				 
명진단영상검진센터 진단사례입니다.

64세 남성 환자분을 내원 전 급작스러운 실신으로 인하여 
앞으로 넘어지시면서 머리에 충격을 받으신 환자로 
실신 후 두통이 점점 심해지면서 걱정이 되어 내원하셨습니다.

일단 충격으로 인하여 빠른 검사와 진단이 가능한 640 채널 뇌 CT 확인 결과 
전두엽 쪽 출혈이 진단되었으며 추가로 MRI 를 촬영하여 빠르게 전원한 케이스입니다.


외상성 뇌출혈 48361 CT 1(2).jpg
(빠른 진단이 가능한 640 채널 CT 장비로 뇌검사 결과 출혈이 진단 됨)


외상성 뇌출혈 48361 T2 1.jpg
(빠른 처치를 위해 뇌 MRI 검사 후 전원 - 3차병원은 바로 검사가 안될 수 있습니다)

급작스러운 뇌출혈로 위험할 수 있는 진단사례로 
골든타임을 단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의료진에게 진료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흔치 않은 앞맥락막 뇌동맥류(Anterior choroidal artery aneurysm) 진단사례 입니다.



환자분은 57세 여성으로 예방차원에서 종합검진 중 우연히 진단하게 된 다행스러운 케이스입니다.



뇌동맥류의 크기는 2 mm (neck )  x  3 mm ( height ) 로 약 4mm 정도로 보입니다.

장방형의 뇌동맥류이고 비교적 젊은 여성이기 때문에
년간 1% rupture risk를 적용하여 30년이면 30%가 되므로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3차병원 전원셨습니다.


이처럼 어지러움, 두통 등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뇌동맥류와 같은 혈관질환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케이스는 현재는 위험하지 않지만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는 잠재적 위험으로
뇌출혈 등 심각한 질환이 되기 전에 미리진단하는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뇌혈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심혈관질환도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에서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조기진단으로 예방하는 경우에는 치료 후 운동과 식사관리등 꾸준한 관리 또한 필수적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진단영상의학과입니다.
50대 여성의 소뇌 위축증 진단사례입니다.
환자분은 내원시 어지럽고, 양쪽 손에 힘이 없어 진료시 증상만으로 위축증이 의심되었습니다.
진료 후 3T MRI 검사 결과 소뇌에서 심한 위축이 관찰되었던 사례입니다.















				 57세 여성의 미세한 뇌동맥류 진단사례입니다.
사이즈가 아주 작은 1.5mm의 뇌동맥류가 있어 고해상도 3T MRI에서 진단된 사례입니다.





(1.5mm의 미세한 뇌동맥류를 뇌혈관 MRA 검사로 진단한 사례)




				 

큰 증상이 없었으나 고혈압이 있어 뇌혈과 검사를 했던 사례로
3T MRI & MRA 를 통해 3개의 뇌동맥류를 발견한 행운의 사례입니다.
뇌동맥류는 검사 전에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며 간혹 두통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3개의 뇌동맥류 중 1개가 상당히 커져 있어 바로 세브란스로 전원하여 스텐트 시술을 하셨습니다.









				 고해상도 검진장비인 3T MRI & MRA를 통해 진단한 2mm 이하의 뇌동맥류 진단사례 입니다.
두통과 어지럼증이 있는 50대 여성으로 다른 장비로 검사를 해봤으나 아무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번에는 3T MRI & MRA 로 검사한 결과 2mm 이하의 진단하기 어려운 뇌동맥류가 발견되었습니다.






				 

*위사진[ 2006년 BRANE MRI]
*아래사진[2011년 BRAIN MRI ]

 

2006년도 후방 뇌동맥이 뚜렷이 건강하게 보이나

아래 2011년도 사진상 거의 막혀 있는 소견으로 BRINE MRI는
2-3년에 한번씩 검사가 필요함

				     
심한 우중뇌동맥 협착
급성 뇌졸증 . 벼랑끝에서 탈출!
				     
※시야에 이상이 있어 뇌 MRI,MRA 검사
 
◎좌후뇌동맥의 폐색
 
◎좌 Visual center에 급성 뇌경색
 
◎시야에 이상이 오면바로  뇌 MRI,MRA검살르 해야한다.
				 협착				 
				 

50대 중반여성 간헐적인 두통을 주소로 내원

MRI and MRA 검사에서 두개의 뇌동맥류가 발견되어 64MDCT 로 확인 .

-크기는 4 mm 이내로 아주 적은 크기여서 당장 파열위험은 낮으나 , 앞으로

 파열되면 생명이 위협되는 상황이므로 미리서 예방적 치료를 할계획임

 

뇌동맥류는 인구 1-3% 에서 발생한다고 하며. 가벼운 두통을 호소하지만 , 대게 두통등 증상이 없는경우가 많다

중년이 되면 한번은 뇌 MRI MRA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1
2
3
4

빠른 상담 신청

담당자가 확인 후 전화상담을 통해
진료예약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목적
상담 서비스 제공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이름, 연락처, 진료과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수입 또는 제공받는 목적 달성시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