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명진단영상검진센터입니다.
최근 내원하셨던 분들 중 자칫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었던
심각했던 진단사례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222.jpg

 (하얗게 보이는 심혈관의 중간이 꽉 눌린 것처럼 막혀있다)

 
 
 
58세 남성의 심혈관진단으로 심근경색과 심장마비를 예방한 사례입니다.
최근 기침과 쉼쉴 때의 가슴통증 증상이 나타났던 환자분으로
2월에 타 병원에서 혈압을 측정했을 때 수축기 혈압이 160 정도 고혈압이 있는 상태였습니다.

환자분께서 바쁘시다고 검사일정을 다음으로 미루시려했으나 배민영 원장님의 거듭되는 권유로 일정을 미루시고 검사를 받게 되셨습니다.
건강상태 전반과 심장을 정밀하게 확인하기 위해 전체초음파 검사와 심장정밀검사를 시행했습니다.

초음파 검사 결과 경도의 지방간과 2.4mm의 경동맥 경화반이 발견되어 집중적인 뇌,심혈관 관리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심장 관상동맥을 정밀하게 보는 관상동맥 CT 검사에서는 좌하행 관상동맥이 전반부가 90%, 중반부 50% 협착으로 완전히 막혀 있는 심각한 상태였습니다.
 
 

444.jpg

 (우측의 혈관을 미세하게 나누어 좌측에서 단면을 확인한 결과 90% 협착진단)

 
이렇게 심혈관이 심하게 막히면 심장근육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심근에 문제가 생겨 심근경색, 심장마비가 나타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입니다.

 

 

333.jpg

(혈관 주변의 석회, 혈전 등이 눈으로 확인된다)

 

 

 

 

다행히 늦지 않게 발견하여 세브란스 병원의 심혈관센터로 즉시 전원하여 최대한 빠르게 스탠트 시술로 혈관을 확장하여 치료하게 되었습니다.

바쁘시다고 검사를 미루셨다면 큰 위험에 처할 수 있었던 진단 사례로 
환자분께서도 바쁜 자신을 잡아준 배민영 원장님께 크게 고마워하셨습니다.
 
정확하고 꼼꼼하게 진단하는 명진단영상의학과를
믿어주시는 많은 환자분들이 있어 더욱 열심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4세 남성으로 평소 고혈압과 당뇨도 없는 상태이셨지만 가족력이 있으셨고
최근 가슴의 답답함을 느껴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심장 CT 검사를 받으셨습니다.

심장관상동맥 검사 결과 좌하행 관상동맥에 심한 협착(90% 이상, 8.9mm)이 발견되어
응급으로 진료연계하였습니다.

관상동맥 협착이 심각한 상태였지만 다행이 늦기전에 검사를 하셔서
진단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던 사례입니다.

관상동맥 협착은 심장돌연사의 가장 큰 원인이지만 큰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받으시거나 가슴의 답답함이 지속된다면 꼭 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고혈압이 있는 50대 남성으로 건강검진 차원에서 128CT로 심장관상동맥 검사를 하였습니다.
검사 결과 우상관상동맥이 90% 이상 협착되어 있는것이 진단되어 응급으로 심장 스텐트 시술을 통해 생명을 구한 사례입니다.


(128 심장CT 검사로 확인한 심장 3D 영상- 거의 혈관이 막혀 있는 상태)


(128 심장CT 검사로 확인한 심장관상동맥의 모습)



(128 심장CT 검사로 확인한 우상관상동맥의 협착 상태)



(협착된 우상관상동맥의 혈관 단면을 촬영한 모습으로 거의 막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0대 이상이시라면 한번쯤 뇌혈관과 심혈관 검사가 필요합니다.
특히 고혈압, 당뇨, 가족력이 있는 분들은 꼭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08년 본원에 도입된 64CT로 검사결과 심장관상동맥이 50% 협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후 위기감을 느끼고 운동과 관리를 해오시다 2013년 128CT로 추적검사결과 협착이 10%정도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8년 심장CT 검사 결과 관상동맥이 50% 정도 협착이 된 모습)



(2008년 심장CT 검사 결과 관상동맥이 50% 정도 협착이 된 모습)



2013년 추적검사 결과


(2013년 128채널 심장CT 검사를 통해 확인한 심장의 3D 모습)


(2013년 심장CT 검사결과 협착된 부분이 줄어들어 있다)


환자분은 2008년 검사 후 자신의 건강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게 되어 꾸준한 관리를 하셨기 때문에
오히려 심혈관의 상태가 더욱 좋아지게 되었습니다.




				 

가끔 좌흉통이 있어 혹시 심장에 이상 있지 않을까 -간단히 심장관상동맥 심장 CT

결과는 거의 막혀있는 관상동맥 확인 됨-바로 스텐트 시술위해 심장내과의뢰 .

				     
 
 
급성심근경색이 일어나는 모습
How a fatal heart attack happens - Tim Russert
 
 
 
관상동맥 스탠트 치료 모습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stenting
 
 
 
관상동맥 경화반이 갱기는 과정
Myocardial Infarction
				     
 
위쪽 사진 : 3년전
 
아래쪽 사진 : 현재
 
- 3년만에 실처럼 가늘어진 관상동맥
 
				 1,OM branch 70%이상 협착으로 진단된 환자임 Stent 시술하심				 
				 

좌심실 첨부수축장애로( akinesia in apical-anterior portion of myocardium) 심기능 저하상태

이분은 전에 심근경색이 있었던 환자로

심근 손상되어 심장 첨부의 전반부가 수축을 못하고 있읍니다(akinesia )

심기능도 40% 정도로 떨어져 있읍니다.

 

이분은 우관상도맥에 취약경화반이 발견되었읍니다( soft plaque with lipid core )

혈전이 떨어져 나가 심장 첨부의 혈관이 막히게 되었고 , 심근괴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처럼 취약경화반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 폭탄 같은 것입니다.

이것을 찾아내는 방법은 심장 CT 검사 입니다.

 

심장 CT 검사 이래서 중요합니다

 

 

 

				 관상동맥기형 우관상동맥 에서 동맥류형성				 
				 

좌하행 관상동맥 심근 바깥에 위치하는 것이 정상( 맨윗 사진)이나

가끔 심근내 위치하는 선천성 기형이 있다.

심근 수축기에 혈관이 압박 받아 좁아지게 되면 혈류가 차단되어 심근 혈액 공급장애가

순간적으로 오게 된다.따라서 심장에 산소 요구량이 절대적으로 올라가는 상태 격렬한 운동

( 마라톤등) 시에는 이런 환자들은 조심해야한다.

				   

















				 

심방중격(atrial septum) 상에 결손(구멍)이 있는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크기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전체 선천성심장질환의 10%정도를 차지하며 여자에서 남자보다 두배정도 잘 생긴다. 성인에서 발견되는 선천성 심장질환 중에서는 가장 흔하다. 심방중격결손 중에서는 난원와형(fossa ovalis defect)가 가장 흔하며 80%에 이릅니다.

 

대개 원인을 알 수 없이 산발적으로 생기며, 간혹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기도 한다. 홀트-오람 증후군이 그 한 예입니다.

 

단락의 양이 적을 때(Qp/Qs < 1.5)는 소아기에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운동시 호흡곤란, 폐의 감염, 피로감이나 심계항진(palpitation)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예측하기 어려우며 40세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운동못견딤(exercise intolerance)과 심실상성 부정맥(심방세동, 심방조동, 동기능부전증후군)으로 인한 증상이다. 좌심실의 탄성을 감소시키는 조건(고혈압으로 인한 좌심실비후, 심근병증, 심근경색)에서는 좌-우단락이 증가하고 증상은 악화된다.

				 80%협착된심장관상동맥				 
				 심장관상동맥 90%협착				 
1
2

빠른 상담 신청

담당자가 확인 후 전화상담을 통해
진료예약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1)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목적
상담 서비스 제공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이름, 연락처, 진료과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의 수입 또는 제공받는 목적 달성시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